ⓒ 겐트대학교 홈페이지
겐트대학교는 벨기에 겐트시에 위치해 있으며, 1817년에 설립된 유서 깊은 대학교입니다. 겐트대학교는 대학순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임즈 세계대학평가(Times Higher Education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85위에 오른 명문대로, 특히 생명과학분야가 40위에 랭크되면서 유럽대학 가운데 생명과학분야의 강자임을 입증한 바 있죠.
겐트대학교의 공용어는 네덜란드어입니다. 송도 최초의 유럽대학인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분교가 아닌 확장캠퍼스 개념인데요? 바로 네덜란드어라는 언어의 한계 때문에 벨기에 겐트대학교에서 수학하기 어려운 외국 대학생들을 위해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는 캠퍼스를 목표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한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서 유학 온 학생들이 훨씬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하네요.
ⓒ 겐트대학교 홈페이지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개설된 학과는 분자생명공학과, 환경공학과, 식품공학과의 학부과정이며, 향후 석사과정도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겐트대학교의 생명과학분야 위상은 193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코르네유 하이만스(Corneille Heymans) 교수, 2013년 세계식량상(World Food Prize)을 받은 마크 반 몽테규(Marc Van Montagu) 교수 등 저명한 학자를 배출한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겐트대학교 125개 학과 가운데 가장 경쟁력있는 생명과학분야의 학과를 송도를 개설했다는 것은 해당 분야를 전 세계적으로 리드하겠다는 의지로 보이는데요? 이를 위해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벨기에 본교 수준의 유럽식 교육과 세계적 석학으로부터의 강의 등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해요. 특히, 송도국제도시에는 GCF(Green Climate Fund) 본부가 입주해있고, 삼성그룹이 차세대 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송도에 들어오면서 이곳 송도국제도시에 바이오 클러스터(Bio Cluster)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어, 앞으로 겐트대학교 연구진과의 협업 및 졸업생 진로가 아주 밝다고 합니다.
ⓒ 겐트대학교 페이스북
가을에 새 학년이 시작되는 벨기에와 학사일정을 동일하게 진행하기 위해 글로벌캠퍼스도 2014학년도 가을학기부터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신입생 선발규모는 분자생명공학과, 환경공학과, 식품공학과 각각 75명 정원이며, 졸업 시에도 벨기에 겐트대학교와 동일한 학위가 수여될 예정입니다.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영어성적도 필수인데요? TOEFL iBT 점수 80점 이상, IELTS 점수 6.5 이상, 미국 또는 영국에 소재한 대학의 영문 작문 수업에서 C(2.0) 학점 이상 취득한 경우 가운데 한 가지를 택일하여 입학 지원할 때에 같이 제출하면 됩니다.
그런데 영어성적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 조건부 입학(Conditional Admission)제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 위 어학성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과학분야 학업성적이 우수하거나 특출한 재능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학생들은 조건부 입학 제도를 통해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입학 허가를 받은 후 1년 이내에 위 어학성적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면 정식 입학으로 자동 전환된다고 합니다. 2014학년도 가을학기 신입생 입학전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참고하세요~
ⓒ Flicker : QUEENYUNA
우리에게는 평창동계올림픽 유치확정 순간에 'PYEONGCHANG'를 들면서 '평창'이라고 말하던 모습을 더 많이 기억할 텐데요. 바로 자크 로케(Jacques Rogge) 전 IOC 위원장이 겐트대학교 출신입니다. 2001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넘게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위원장을 맡았었던 자크 로케 전 위원장은 1967년에 겐트대학교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고 합니다. 또 벨기에 최초 우주인 디르크 프리모우트(Dirk Frimout)는 1970년에 겐트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외에 점점 더 많은 한국인 유학생이 겐트대학교에서 수학하는 추세라고 하는데, 대부분이 석박사 과정이라고 합니다. 이제 송도에 글로벌캠퍼스가 개교했으니, 학사과정부터 유럽 명문대학의 커리큘럼으로 배울 수 있겠죠?^^
'살기좋은 > 교육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쏭양과 함께하는 송도국제도시 캠퍼스 투어 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20) | 2014.06.03 |
---|---|
[쏭양과 함께하는 송도국제도시 캠퍼스 투어 ④] 한국뉴욕주립대학교 (21) | 2014.05.12 |
[쏭양과 함께하는 송도국제도시 캠퍼스 투어 ②]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18) | 2014.04.28 |
[쏭양과 함께하는 송도국제도시 캠퍼스 투어 ①]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24) | 2014.04.21 |
자연에서 즐기는 놀이와 학습! 송도국제도시 새아침공원의 ‘생태체험프로그램’ (18) | 201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