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기좋은/그린시티

[송도IBD 친환경캠페인 Go Green] 환경을 위해 힘쓰는 일? 어렵지 않아요! - 쓰레기 분리수거 편

 

 

송도IBD 블로그 친환경 캠페인 <Go Green>은 친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해 우리들이 가정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해드리는 코너입니다. 오늘은 올바르게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쓰레기 분리수거 하는 방법은 참 쉬운 것 같으면서도 막상 물건들을 나열해 놓고 보면 어디에 버려야 할 지 난감할 때가 많죠? 자, 그럼 문제를 내 보겠습니다. '고기의 지방덩어리는 음식물 쓰레기일까요? 형광등은 재활용 쓰레기일까요? 컵라면 뚜껑도 재활용이 될까요?' 생각했던 것보다 알쏭달쏭 헷갈리시죠? ... 이제부터 하나씩 이 해답을 풀어나가보도록 해요! 아, 그 전에 도시의 모범이 되고 있는 송도IBD의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을 알아볼까요?

 

 


송도IBD 대부분의 아파트에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이 갖춰져 있습니다. 각 층마다 비치되어 있는 쓰레기 투입구에 쓰레기를 버리면 OK지요. 참 깨끗하고 간단한 방법이죠? 이 쓰레기들은 아파트 단지에서 2㎞ 정도 떨어져 있는 집하장에 모여 건조되고, 건조물은 전용보일러를 통해 에너지화된다고 합니다. 쓰레기가 에너지로 바뀌는 순환 구조를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 누릴 수 있으니 정말 일석이조네요.


이제 일요일 아침마다 누가 쓰레기 버려야 하나 옥신각신 싸우지 않아도 되겠죠?

다른 도시에도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잉? 여긴 어디? 송도국제도시에서 볼 수 있는 쓰레기 분리 수거함입니다. 많은 분들이 사진을 찍어가시며 '아니, 내가 살다 살다 쓰레기통을 찍고 갈 줄은 몰랐소'라고 외치는 그 화제의 쓰레기 분리 수거함이지요. 거리에 쓰레기 봉투가 잔뜩 쌓여 있으면 미관상 좋지 않고, 도로를 더럽히기도 하지요. 이 특별한 쓰레기 분리 수거함은 생활 폐기물용과 음식물 폐기용이 따로 나뉘어져 있으며, 주위 상가나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깔끔하고 간편하게 쓰레기 걱정 종결이요!

 

 

GCF, Green Climate Fund

유엔 상설기구인 GCF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800조 원에 이르는 기금을 적립한 뒤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분야에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중추 역할을 맡게 될 국제기구이다. 기금은 개도국의 산림보호와 청정에너지 기술 이전에 사용할 예정이어서 활동범위나 규모면에서 환경 분야의 세계은행과 같은 기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UN GCF 사무국 후보도시로 우리나라에서는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선정이 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11월 카타르에서 열리는 제 1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판가름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종류

 세부 품목

 배출 요령

 종이류

신문, 잡지류

  오물이나 물에 젖지 않고 비닐, 플라스틱, 철사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함

 종이팩류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한번 헹군 후 
  펼치거나 압착하여 묶어 배출

 유리병

음료수 병 등 기타 병류

  - 병뚜껑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비움

  -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않음

  * 깨진 병과 유리류 등은 소량배출건설폐기물 포대에 배출

 금속류

고철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금속성분만 배출

 철캔, 알루미늄 캔

  내용물은 비우고 가능한 부피를 줄임

 부탄가스, 살충제 용기 등

  - 겉 또는 속의 플라스틱 뚜껑 등을 제거

  - 안전한 곳에서 구멍을 뚫은 뒤 배출

합성수지류

플라스틱류

필름ㆍ비닐류 재질의 용기,
포장재

  - 내용물은 깨끗이 비우고 다른 재질로 된 뚜껑
  (은박지, 랩 등)이나 부착상표 등을 제거한 후 배출

  - 필름ㆍ비닐류 포장재(과자, 라면 봉지 등)를
  따로 모아서 투명한 비닐봉투에 담아 배출

 스티로폼,

전자제품 포장재,

 컵라면, 일회용도시락

  - 5~6개 끈으로 묶어서 배출

  -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부착상표

    테이프 등 이물질을 제거 후 배출

  - 컵라면 뚜껑은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

형광등류 

형광등류 등

 (유리, 백열등 제외) 

  깨지지 않도록 분리하여 배출

  * 깨진 형광등, 백열등은 소량배출건설폐기물 포대에 배출

전지류

수은전지

 산화은전지

 니켈ㆍ카드뮴전지 등

전지류 일체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

  - 전자제품 대리점 및 시계점 등 역회수

    경로를 통하여 배출

  - 주요거점에 비치된 수거함에 배출

 

 

 

일반 소각용 쓰레기로 분류되는 음식물 쓰레기 

채소류

  고추씨, 양파, 마늘, 생강, 옥수수 대 및 껍질, 
  통배추, 통무, 통호박 및 썩은 채소류 

과일류 

  호두, 밤, 땅콩, 도토리 등의 딱딱한 껍데기, 
  복숭아 등 핵과류 씨, 파인애플 등 딱딱한 껍질 

곡류

  보리, 쌀, 콩 등의 왕겨 

육류

  소, 돼지, 닭 등의 털 및 뼈다귀, 비계, 내장

어패류

  조개, 소라, 전복, 꼬막, 굴, 게, 가재 등의 껍데기

알류

  계란, 오이, 메추리 알 등의 껍데기

1회용 티백

  녹차, 보리차 등의 1회용 티백, 한약 및 과일즙 등 찌꺼기

기타

  수박, 멜론 등 부피가 큰 과일류 껍질 또는 채소류는 잘게 잘라서 버리고
  김치 젓갈류는 물로 씻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 가능

 

*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수분을 충분히 제거 후 전용봉투 및 전용수거용기에 배출해주세요.

* 이물질(비닐, 이쑤시개 등)은 반드시 분리배출해서 버립시다.

 

 

'푸드뱅크'란 각 가정이나 업체에서 발생하는 여유식품을 기부 받아 사회의 소외계층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식품자원 복지서비스입니다. 지역단위 소규모 기부도 가능하다고 하니 환경도 살리고 좋은 일도 함께 해보세요!

 

보건복지부 전국 푸드뱅크

홈페이지: http://www.foodbank1377.org/


 

쓰레기 올바르게 분리수거하는 방법, 잘 살펴 보셨나요? 외우기 힘들다하시는 분들은 인쇄해서 냉장고에 턱! 붙이고 참고해주세요. 환경오염을 줄이는 최고의 방법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하는 방법이지요. 쓰레기를 반으로, 재활용해 다시 쓸 수 있는 것들은 2배로 늘릴 수 있는 방법. 여러분도 분리수거를 생활화해보도록 해요. 올바른 식단 계획을 짜서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남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또 하나의 환경을 지키는 방법이겠지요? 그럼 이 참에 우리... 쓰레기 분리수거나 하러 나가 봅시다. 꼬우꼬우! ^^